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은 출산가정에 건강 관리사를 보내서 산후관리를 지원함으로써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증진하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원되고 있는 사업입니다.
올해부터 친정엄마도 시어머니도 산후조리원 지원금이 지급되니 본인 44만 원 부담 시 정부에서 98만 원 지원이 됩니다.
출산예정일 40일 전에 신청만 하면 가능하니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셔서 신청하세요
목 차
1. 지원대상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지원대상은 국내 주민등록을 한 출산가정이라면 지원이 가능합니다.
외국인도 신청이 가능하니 자세한 사항은 온라인으로 지원대상이 되는지 본인인증을 통해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2. 선정 기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선정 기준은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이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한 산모 및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금약이 전국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에 해당하는 출산가정은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로 통해 해당가구의 시군구 보건소에 문의하셔서 아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정해진 소득 기준을 초과하더라고 예외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신청이 가능하니 자세한 사항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 희귀 난치성질환, 장애인 산모 및 장애 신생아, 새터민, 결혼이민, 미혼모, 쌍생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 출산 가정, 기타 소득기준 완화 등
3. 지원 내용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지원 내용은 건강관리사가 일정기간 출산 가정에 방문하여 산후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 이용권을 지급합니다.
산모 건강관리, 신생아 건간관리, 산모 식사준비, 세탁물 관리 및 청소 등을 지원가능합니다
태아 유형 및 출산 순위에 따라 바우처 지원 기간이 다르니 시군구 보건소에 문의하셔서 아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첫째 아이는 10일 둘째부터는 15일 이상 가능하니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4. 신청방법
신청방법은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보건소 또는 온라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온라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복지로 온라인 신청 경로
복지로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임신출산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5. 가사관리사 자격증 취득방법
보건 복지부가 인증한 기관에서 교욱을 받으면 누구나 일할 수 있으며, 교육기간은 신규자 기준 60시간, 경력자 기준 40시간이며 각각 8일과 5일만 교육을 들으면 일할수 있습니다.
경력자는 요양보호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사회복지사자격 또는 면허 소지자가 해당됩니다
교육 비용은 15~20만 원이지만 가사관리사로 400시간 이상 근무하면 환급이 됩니다.
교육 이후에는 사회서비스 전자 바우처 시스템에 등록을 해야 하니 아래의 정식 사이트에서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교육부터 등록 절차까지 감안하여 총 4~6주 쇼요 되니 출산 예정일 한 달 반 이전에 교육을 신청할 것을 권유드립니다.
또한 등록을 위해서는 보건증, 마약검사, 질병 접종 증명서 등을 제출하고 아동학대예방 교육을 이수하여야 가능하니
아래의 온라인에서 교육 신청이 가능하니 본인인증을 통해서 국가에서 운영하는 온라인에서 교육신청이 가능합니다.
올해부터 진청엄마들까지도 건강관리사로 일할 수 있다고 하니 건강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해서 산모의 건강과 손자, 손녀의 건강도 챙기셔서 출산가정에 행복의 웃음꽃을 활짝 피우셔요~~
'부자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 수급자격, 지급대상자 선정기준액, 신청방법, 모의계산 완벽정리 (0) | 2025.02.20 |
---|---|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가입조건, 혜택 완벽 정리 (0) | 2025.02.17 |
스마트폰 송금실수 시 착오송금 반환지원 한도 확대(1억원) 및 신청방법 완벽정리 (0) | 2025.02.16 |
부동산 경매 절차와 주의할 점, 등기부등본 보는 법 (0) | 2025.02.16 |
농식품 바우처 사업 지원대상, 신청기간, 지원내용, 신청방법, 사용방법 총정리 (0) | 2025.02.15 |
GTX-B 3월 착공 송도, 남양주 집값 총정리 (0) | 2025.02.15 |
2025년 토지거래허가구역의 뜻과 해제, 확인방법, 실거주 총정리 (0) | 2025.02.15 |
농촌체류형쉼터 시행, 설치 농지조건, 절차, 형태 완벽정리 (0) | 2025.02.14 |